TODAY TOTAL
한 죄인의 전설 - 뮌헨 협정과 체임벌린 : 1938~1940 (1)

이 글은 내가 2009년 1학기에 작성한 글로, 제 10회 서울대학교 우수리포트 공모대회에서 우수상을 받은 글이다. 교양 수업(서양문명의 역사)에서 작성한 리포트라 부족한 점도 있고, 블로그에 올리기엔 글이 긴 것 같아 그동안 이 블로그에는 올리지 않고 있었는데 그래도 썩혀두는(?) 것보다는 올려두는 게 좋을 듯 해서 올려 본다.

리포트의 주제는 2차 세계대전이 터지던 1938~1940년의 영국 수상, 네빌 체임벌린(Neville Chamberlain)의 대독(對獨) 정책에 관한 것이다. 나치 독일의 지도자,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에 대한 유화정책으로 유명한 그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정적인 평가와는 다른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역시 블로그에 한 번에 포스팅하기에는 글이 너무 길기 때문에 세 번에 걸쳐 나누어 포스팅하고자 한다. 이번 포스트에는 Ⅰ. 문제의 제기 : 죄인에 대한 의문, Ⅱ. 수데텐란트 할양 요구의 명분의 두 부분만을 올린다.


한 죄인의 전설
뮌헨 협정과 체임벌린 : 1938~1940

목차


Ⅰ. 문제의 제기 : 죄인에 대한 의문
Ⅱ. 수데텐란트 할양 요구의 명분
Ⅲ. 대독 유화정책의 근본적 원인
Ⅳ. 제 2차 세계대전으로 가는 길
Ⅴ. 결론 : 한 죄인의 전설


Ⅰ. 문제의 제기 : 죄인에 대한 의문


 1938년 9월 30일, 영국 수상(Prime Minister) 체임벌린(N. Chamberlain)은 군중의 환호를 받으며 런던의 헤스턴 비행장(Heston Aerodrome)에 내려섰다. 그는 그날[각주:1] 뮌헨 협정(Munich Agreement)과 영국 ․ 독일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고 귀국하는 길이었다. 그는 자신이 독일의 총통 겸 수상(Führer und Reichskanzler) 히틀러(A. Hitler)와 조인한 성명서를 흔들며 “제가 해냈습니다!”라고 소리쳤다. 체임벌린은 그 자리에서 연설을 통해, “우리는 지난밤의 협정과 영국 ․ 독일 해군 협정을 양국 국민의 절대로 다시는 전쟁을 하지 않고자 하는 바람의 상징으로 간주합니다.”라고 말했다.[각주:2] 그리고 그날 밤, 수상 관저 앞의 환호하는 군중에게 그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이로써 우리 시대가 평화로울 것이라(Peace for our time) 믿습니다.”[각주:3]
 이어 10월 5일에 있었던 하원 연설에서 체임벌린은 평화에 대한 열망이 뮌헨에서의 회담을 지배하였다고 설명하고 나서, 자신은 낙관주의자가 아니라 철저한 현실주의자이며, 뮌헨 협정은 (전체주의 국가를 배제하지 않은) 전 유럽의 평화를 위한 진실한 초석이 될 것이라 주장하였다.[각주:4]

 하지만, 그로부터 불과 몇 달 후, 히틀러는 체코슬로바키아 전체를 점령하여 그러한 체임벌린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그리고 뮌헨 회담으로부터 1년이 채 지나지 않은 1939년 9월 1일, 히틀러는 폴란드마저 공격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의 막을 올리게 되었다. 이러한 탓에, 뮌헨 협정은 잘못된 유화정책(appeasement)의 대명사처럼 알려져 왔다. 덕분에 오늘날의 신문이나 교양 역사 서적, 혹은 대학 교재에서 뮌헨 협정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를 찾기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실패한 유화정책이자 굴욕’[각주:5], ‘잘못된 판단과 비겁함으로 인한 단순한 외교적 굴복이자 군사적 재앙’[각주:6], ‘전체주의 국가에 대한 서방 국가의 약체성을 극명하게 드러낸 사건’[각주:7] 등이 그것이다. 체임벌린에 대한 평가도 뮌헨 협정에 대한 평가와 마찬가지다. 1940년에 어느 젊은 기자들이 책을 써 히틀러에게 유화정책을 쓴 정치인들을 ‘죄인들(Guilty Men)’이라 비난한 이래, 체임벌린은 그중에서도 가장 으뜸가는 죄인으로 꼽혀 왔다.[각주:8] 그로부터 체임벌린은 나약하고 무능한 정치인의 대명사처럼 여겨지게 되었고, 오늘날에 이르러서도 그는 영국의 역대 수상 중 가장 무능한 수상이라는 악평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각주:9]

 그러나 뮌헨 협정을 위에서 본 것처럼 오로지 실패한 유화정책의 상징이라고만 받아들일 수 있을까? 쉽게 그렇게 받아들여선 안 될 것으로 생각한다. 왜냐하면, 역사적 사건은 표면으로 드러난 모습만 가진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끈으로 묶여 있는 숨겨진 모습들 또한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그러한 모습들을 알아본 후에야 비로소 뮌헨 협정의 역사적 의의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일반적으로 상술한 것처럼 잘 알려진 겉으로 드러난 모습―뮌헨 협정과 체임벌린에 관한 악평―의 형성 기제를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고 볼 수 있다. 먼저 히틀러의 억지스러운 수데텐란트(Sudetenland) 할양 요구를 체임벌린이 너무 쉽게, 특히 처칠(W. Churchill) 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받아주었고, 이로 말미암아 히틀러는 유화정책으로 일관하는 영국 등을 더욱 기만하여 체코슬로바키아를 점령하고, 나아가 폴란드마저 공격하여 결국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엄청난 재앙을 일으키기에 이르렀으므로, 체임벌린의 유화정책은 결국 히틀러를 도와 전쟁을 일으킨 셈이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기제를 단계마다 뒤집어 생각해 보면 다음과 같은 이면의 모습들이 있지는 않았는지 의심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첫 번째로,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뮌헨 위기를 불러온 독일의 수데텐란트 할양 요구가 영국이 보기에는 정당한 것이었다면? 다음으로, 체임벌린이 대독 유화정책을 펼칠 충분한 현실적 근거와 여론의 지지가 있었다면? 마지막으로, 히틀러가 실은 (1939년 9월에) 영국이나 프랑스와는 전쟁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지 않았다면?

 상술한 의문들은 분명히 일반적인 통념― 뮌헨 회담에 대한 전통적 인식― 과는 배치되는 것들이다. 하지만, 만일 이 의문들에 관해 일반적인 통념과 다른 답을 이끌어낼 수 있다면  ‘죄인’으로 비난받아온 체임벌린을 변호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제 상술한 이면의 모습들이 있을 가능성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Ⅱ. 수데텐란트 할양 요구의 명분


 먼저, 뮌헨 협정의 성립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체코슬로바키아 성립의 기원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수데텐란트가 가지는 특징을 좀 더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서 승전국들이 패전국들의 영토를 나누어 독립시켰는데, 체코슬로바키아는 그렇게 생겨난 신생 독립국 중 하나였다. 원래 이 지역은, 16세기 초에 구 보헤미아 왕국을 흡수한 이래 이 지역을 지배하고 있던 합스부르크(Habsburg), 즉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Österreich-Ungarn)의 영토였으나, 이중제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함으로 말미암아 해체되면서, 체코슬로바키아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다른 신생 독립국들과 달리 체코슬로바키아만이 가지는 특징이 있었다. 바로 전후 세계 질서의 재편을 주도하였던 미국의 윌슨(W. Wilson) 대통령 등이 강조하였던 ‘민족자결주의’를 무시한 채 만들어진 국가였다는 점이다.[각주:10] 즉, 1 민족 1 국가 체제가 아니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체코인이 인구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을 뿐, 독일인이 23%, 슬로바키아인이 15%나 되었다. 그 여러 민족을 포괄하고 있는 구성 탓에 처음부터 민족 간 충돌과 같은 내정 문제가 고민거리였으며, 국가가 성립된 지 20년이나 지난 1938년에도 마찬가지였다.[각주:11] 그렇다면 수데텐란트의 문제는 무엇이었을까?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데텐란트의 위기가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자.

 수데텐란트는 체코에서 가장 발달한 공업지대였으며, 또한 강고한 요새들이 구축되어 체코슬로바키아의 국경 수비를 담당하는 지역이었다. 이 지역에는 320만 명이 넘는 독일인들이 있었는데, 이는 이 지역 인구 구성비의 90%를 웃도는 수였고, 그들의 70% 이상이 헨라인(K. Henlein)의 수데텐 독일당(Sudeten Deutsche Partei)를 지지하고 있었다.[각주:12] 히틀러의 열렬한 지지자인 헨라인에 의해 1933년에 만들어진 수데텐 독일당은 독일 외무성으로부터 비밀리에 보조금을 지급받는 등, 사실상 히틀러의 뜻대로 움직이는 정당이었다.[각주:13] 1938년 3월 말, 오스트리아를 합병(Anschluss)한 히틀러는 곧바로 체코슬로바키아로 눈을 돌렸다. 히틀러에게 독일과 국경을 맞대고 있으면서 프랑스의 지원을 받는 체코슬로바키아는 위협적인 존재가 아닐 수 없었다.[각주:14] 프랑스 ․ 체코슬로바키아 조약은 독일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하는 경우, 프랑스의 개입을 규정하고 있었다. 또한 체코슬로바키아는 군의 무장이 잘 되어있었을뿐만 아니라, 베를린을 비롯한 독일 중심부를 공습하기에 좋은 지리적 위치를 가지고 있어, 히틀러는 체코슬로바키아를 ‘프랑스의 항공모함’이라 불렀다. 동유럽으로의 팽창 정책을 추구하던 그에게 이러한 체코슬로바키아는 성가신 존재가 아닐 수 없었다. 이에 히틀러는 수데텐란트와 헨라인을 통하여 체코슬로바키아라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히틀러는 헨라인을 베를린으로 불러, 체코슬로바키아 정부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정치적 요구를 체코슬로바키아 정부에 제출하여 소요를 일으킬 것을 지시했다. 그리하여 1938년 4월에 헨라인은 카를스바트(Karlsbad) 대회에서, 히틀러의 지시대로 수데텐란트의 독일인들은 체코인들에게 핍박받고 있으므로 수데텐란트 자치 정부의 수립을 인정할 것을 체코슬로바키아 정부에 요구하였다. 그러한 수데텐 독일당의 활동에 따라 체코슬로바키아 내에서는 소요가 발생하여 날로 확산되어 갔다. 아울러 수데텐란트의 보호자를 자처하는 독일과 수데텐 독일당의 활동을 용인할 수 없다는 체코슬로바키아 간에는 계속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급기야 5월에 이르러서는 체코슬로바키아 정부가 독일이 체코슬로바키아를 공격하기 위해 군대를 이동시키고 있다며 예비군 동원령을 내리는 일이 일어났다. 하지만, 곧 독일의 군사 이동은 없었음이 드러났다. 그러나 이 사건은 히틀러를 자극하기에 충분하였다. 이러한 체코슬로바키아의 행동에 격분한 히틀러는 즉각적인 무력 사용을 고려하였으나, 그의 참모들은 영국이나 프랑스가 개입하게 되면 더 큰 전쟁으로 비화될 것이라며 히틀러를 만류하였다. 결국 히틀러는 ‘영국이나 프랑스가 개입하지 않는다면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해 행동을 취할 것’이라는 자세를 견지하게 되었다.[각주:15] 한편, 전쟁으로까지 문제가 비화될 조짐을 보이자 영국과 프랑스 정부는 전쟁의 공포에 휩싸이게 되었고, 평화적인 문제 해결을 모색하게 되었다. 영국은 런시먼(W. Runciman)을 프라하에 파견하여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였으나, 히틀러는 9월 12일에 수데텐란트의 핍박받는 독일인들을 독일 정부가 보호할 것을 천명하며 이는 ‘독일의 문제’임을 주장하였다. 결국, 런시먼은 아무런 소득 없이 귀국하였고, 이에 체임벌린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히틀러에게 직접 만나 대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상이 9월 15일에 두 정상이 베르히테스가덴(Berchtesgaden)에 위치한 히틀러의 별장(Berghof)에서 만나기까지의 간략한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살펴볼 때, 히틀러의 수데텐란트 요구― 독일인들은 독일로 복귀시켜야 한다는 것―는 영국이나 프랑스로서는 민족자결주의에 따른 정당한 요구로 보였다고 할 수 있다.[각주:16] 체임벌린이 체코슬로바키아의 분할을 ‘민족자결주의의 원칙을 수용하는 것’이라 지칭했음이 이를 잘 보여준다.[각주:17] 히틀러나 체임벌린에게 있어 민족자결주의는 아주 훌륭한 명분이었다.[각주:18] 히틀러로서는 수데텐란트를 획득함으로써 순식간에 신흥 공업국으로서 번영하던 체코슬로바키아의 산업 생산력을 40%나 탈취하게 되었다. 또한, 이 지역에는 체코슬로바키아의 방위를 담당하고 있던 요새들이 있었다. 이는 프랑스의 마지노 선을 제외하고는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방위선이었다. 결국, 히틀러는 힘 한번 쓰지 않고 ‘프랑스의 항공모함’이라는 걱정거리―체코슬로바키아―를 사실상 무력화시키게 되었다.[각주:19] 또한, 체임벌린으로서는 정당한 대의명분이 있는 요구를 받아들여 주고 평화라는 최종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셈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 후의 독일에 지운 부담이 가혹했다는 베르사유 조약에 대한 도덕적 비판 또한 뮌헨 협정의 체결에 힘을 실어 주었다.[각주:20] 영국의 여론 또한 평화를 바라고 있었다. 타임즈(Times) 지는 수데텐란트를 독일에 할양하여야 한다는 사설을 싣기도 하였고[각주:21], 진보적인 언론이었던 뉴 스테이츠먼(New Statesman) 또한 뮌헨 협정을 지지하였다.[각주:22] 게다가 히틀러는 체임벌린에게 유럽에서 더 이상의 땅을 요구하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다.[각주:23] 결론적으로, 히틀러의 요구를 받아들여 준 것은 1938년 9월의 체임벌린으로서는 충분히 명분이 서는 일이었다.

  1. 뮌헨 협정은 1938년 9월 30일 새벽 2시 경에 서명되었으나, 그 체결 일자는 29일로 하기로 하였다. 아울러 9월 30일 아침, 체임벌린은 프랑스 정부와의 사전 협의 없이 히틀러와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였다. 김용구,『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pp. 767, 769. [본문으로]
  2. 여기에서 ‘우리’란 체임벌린 본인과 히틀러를 말한다. Churchill, W., 'The Second World War: The Gathering Storm', Houghton Mifflin Harcourt, 1986, pp. 285. [본문으로]
  3. Taylor, A. J. P.,『제2차 세계대전의 기원』, 유영수 옮김, 지식의 풍경, 2003, pp. 291. [본문으로]
  4. Lee, Dwight E., ‘Munich : blunder, plot, or tragic necessity?’', Lexington, Heath, 1970, pp. 1-12. [본문으로]
  5. 동아일보, 《책갈피 속의 오늘, 1938년 뮌헨협정 서명》, 2008년 9월 30일. [본문으로]
  6. Johnson, P.,『모던 타임스』, 조윤정 옮김, 살림, 2008, pp. 662-665. [본문으로]
  7. 배영수,『서양사 강의』, 한울아카데미, 2007, pp. 599. [본문으로]
  8. Morgan, Kenneth O.,『옥스퍼드 영국사』, 영국사학회 옮김, 한울아카데미, 2006, pp. 627-628. [본문으로]
  9. Beckett, Francis. 한겨레신문, 《20세기 영국 빛낸 총리는 대처와 애틀리》, 2006년 8월 29일에서 재인용. [본문으로]
  10. 조영주,『히틀러의 외교정책 - 그 성공과 실패』, 삼지원, pp. 59-60. 이를 두고 체임벌린은 체코슬로바키아를 ‘꿰매 붙인 넝마조각’이라 불렀다. [본문으로]
  11. 체코슬로바키아 내의 독일인들은 소수민족으로서 차별 대우를 받긴 했으나, 사실 히틀러나 헨라인이 주장했던 것만큼 정도가 나쁘지는 않았다. Shirer, William L.,『제3제국의 흥망』, 제2권, 유승근 옮김, 에디터, 1993, pp. 145-146. [본문으로]
  12. 김용구, 앞의 책, pp. 759. [본문으로]
  13. Shirer, William L., 앞의 책, pp. 147. [본문으로]
  14. 김용구, 앞의 책, pp. 759-760. [본문으로]
  15. Taylor, A. J. P., 앞의 책, pp. 262-264. 히틀러는 체코슬로바키아를 공격하기 위하여 《녹색 작전(Fall Grün)》이라는 공격 계획을 세워놓고 있었다. 만일 뮌헨 회담이 결렬되었다면 히틀러는 이 작전을 10월 1일에 발동하였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Shirer, William L.) [본문으로]
  16. 이주영 외 3인, 『서양 현대사』, 삼지원, 1994, pp. 10. [본문으로]
  17. Taylor, A. J. P., 앞의 책, pp. 276. [본문으로]
  18. 아담 투즈(Adam Tooze, ‘The Wages of Destruction: The Making and Breaking of the Nazi Economy’, Allen Lane, 2006.)는 히틀러가 구축하려고 했던 레벤스라움(Lebensraum, 생활권)의 진정한 목표는 흔히 일컬어지는 것처럼 ‘게르만 족의 생활권’이라는 민족주의적 목표가 아닌, 미국에 대항할 수 있는 대 경제권역의 건설이라는 경제적 목표였으며, 이것이야말로 히틀러의 진정한 목표라고 하였다. [본문으로]
  19. Shirer, William L., 앞의 책, pp. 247-248. [본문으로]
  20. 김용구, 앞의 책, pp. 768; 조영주, 앞의 책, pp. 40, 46. 이는 영국이 독일에게 어느 정도 양보를 하여 유럽의 안정을 가져와야 한다는 입장으로 이어졌다. [본문으로]
  21. 뮌헨 협정이 체결되자 타임즈 지는 체임벌린을 ‘가장 고귀한 월계관으로 장식된 사람’이라 찬양했으며, 심지어 ‘체임벌린에게 감사하는 전국 모금 운동’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Shirer, William L., 앞의 책, pp. 245. [본문으로]
  22. Johnson, P. 앞의 책, pp. 665. [본문으로]
  23. 조영주, 앞의 책, pp. 64. [본문으로]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