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TOTAL
한 죄인의 전설 - 뮌헨 협정과 체임벌린 : 1938~1940 (3)

이 글은 내가 2009년 1학기에 작성한 글로, 제 10회 서울대학교 우수리포트 공모대회에서 우수상을 받은 글이다. 교양 수업(서양문명의 역사)에서 작성한 리포트라 부족한 점도 있고, 블로그에 올리기엔 글이 긴 것 같아 그동안 이 블로그에는 올리지 않고 있었는데 그래도 썩혀두는(?) 것보다는 올려두는 게 좋을 듯 해서 올려 본다.

리포트의 주제는 2차 세계대전이 터지던 1938~1940년의 영국 수상, 네빌 체임벌린(Neville Chamberlain)의 대독(對獨) 정책에 관한 것이다. 나치 독일의 지도자,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에 대한 유화정책으로 유명한 그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정적인 평가와는 다른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역시 블로그에 한 번에 포스팅하기에는 글이 너무 길기 때문에 세 번에 걸쳐 나누어 포스팅하고자 한다. 이번 포스트에는 마지막에 해당하는 Ⅳ. 제 2차 세계대전으로 가는 길, Ⅴ. 결론 : 한 죄인의 전설의 두 부분을 올린다.


한 죄인의 전설
뮌헨 협정과 체임벌린 : 1938~1940


목차


Ⅰ. 문제의 제기 : 죄인에 대한 의문
Ⅱ. 수데텐란트 할양 요구의 명분
Ⅲ. 대독 유화정책의 근본적 원인
Ⅳ. 제 2차 세계대전으로 가는 길
Ⅴ. 결론 : 한 죄인의 전설


Ⅳ. 제 2차 세계대전으로 가는 길

이제 다음으로, 체임벌린과 뮌헨 협정에 씌워진 또 다른 악평의 근거인 ‘그가 뮌헨에서 히틀러에게 양보했기 때문에, 히틀러가 폴란드를 공격하여 2차 세계 대전을 일으켰다.’라는 이야기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일단, 히틀러가 1939년 9월에 폴란드를 공격하기까지 있었던 긴장의 순간마다 서방 국가들이 취했던 대응을 살펴보면, 유화정책은 분명히 히틀러를 기고만장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히틀러가 재무장을 선언하며 국방군(Wehrmacht) 징집을 선포한 1935년, 라인란트(Rheinland) 비무장지대로 진군한 1936년, 오스트리아와 수데텐란트를 합병한 1938년, 그리고 체코슬로바키아를 합병한 1939년 3월에 이르기까지, 서방 국가들은 독일에 대하여 어떠한 군사적 대응도 하지 않았다. 그러자 히틀러는 자신이 폴란드를 공격한다 하더라도 영국이나 프랑스는 개입하지 않을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 특히 구데리안(H. Guderian)에 따르면 히틀러는 1939년 8월, 몇몇 장성들을 소집해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고 한다. “프랑스는 모험을 감행하지 않을 것이다. 영국은 사실상 폴란드를 지원할 수 없다. 적들은 나의 위대한 결단력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우리의 적들은 하찮은 벌레에 불과하다. 나는 뮌헨에서 그 사실을 확인했다.”[각주:1]

하지만, 히틀러는 과연 세계 대전― 영국 ․ 프랑스와의 전쟁을 일으키려고 했었을까?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외교적 및 군사적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외교적 측면에서 개전을 전후하여 일어났던 일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39년 8월 23일, 독 ․ 소 불가침 조약이 체결되었다. 조약과 더불어 맺은 이면합의에서 히틀러와 스탈린(I. Stalin)은 폴란드를 함께 공격하여 그 영토를 양분하기로 하였다. 이를 통하여 히틀러는 폴란드와의 전쟁에서 승리를 확신할 수 있었다. 한편, 전쟁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느낀 체임벌린은 8월 25일, 폴란드를 지키기 위하여 폴란드와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하였다. 프랑스의 달라디에(E. Daladier) 역시 히틀러에게 프랑스는 폴란드를 지원할 것임을 단언하였다. 하지만, 그럼에도 히틀러는 9월 1일에 폴란드를 침공하였다. 이에 영국과 프랑스는 9월 3일, 독일에 최후통첩을 전달하였다. 히틀러는 영국과 프랑스가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하고 있었으나, 뜻밖의 상황에 부닥치게 되었다. 그러나 히틀러는 전쟁을 계속하기로 했다. 그리고 개전 후, 불과 4주 만에 폴란드는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에 의해 분할되었다. 영국과 프랑스는 군을 동원하였지만, 독일을 먼저 공격하지는 않았다. 히틀러는 10월 6일, 영국과 프랑스에 독일의 동부 점령지역을 인정해줄 것을 전제로 평화를 제의하였지만, 단호히 거절당했다.[각주:2]

무엇보다도, 폴란드를 침공할 당시 히틀러가 영국이나 프랑스와 전쟁을 벌일 생각이 없었다는 것은 군사적 측면― 영국이나 프랑스와 싸울 만한 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았다는 데에서 더욱 극명히 드러난다. 먼저, 해상 패권국가인 영국이나 프랑스와 대적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독일의 생존에 필요한 자원 수입 경로를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해군력의 확보가 필수적이었다. 하지만, 1939년 9월에 대서양으로 투입할 수 있는 독일 해군의 전력은 U-보트 22척과 전함 2척에 불과했다.[각주:3] 이는 1935년 영국 ․ 독일 해군 협정에서 허용된 영국 해군 대비 35%의 비율에도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육군이 가지고 있던 탄약의 보유량은 2주일분에 불과하였으며, 유류 비축분도 영국이나 프랑스에 비해 크게 부족하였다.[각주:4] 또, 독일군은 병력의 수가 비슷했던 폴란드에 전력을 집중하였으므로, 독일 서부의 방어선인 지크프리트(Siegfried) 선이 압도적으로 월등한 전력의 프랑스군에 그대로 노출되는 셈이었다. 독일과 프랑스가 동원한 병력의 수만 따져 보아도 손쉽게 이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프랑스군이 동원한 병력이 610만 명이었음에도, 독일군은 겨우 450만 명을 동원하였고 그나마도 현역병은 113만 명에 불과하였던 것이다.[각주:5] 그리고 당시 독일 기갑부대의 전차(Panzer)는 대부분 Ⅰ호와 Ⅱ호 전차였는데, 이 전차들의 주포는 당시 프랑스군 경전차의 장갑조차 뚫지 못할 정도로 무장이 빈약했다.[각주:6] 즉, 독일군은 폴란드와의 전투에만 대비되어 있었지, 서부전역에서의 전투를 준비하지 않았던 것이다. 폴란드의 항복을 받은 직후, 히틀러가 그제야 영국 ․ 프랑스와 대결할 뜻을 밝혔지만, 심지어 친 나치적인 장군들까지도 하나같이 거부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각주:7] 따라서, 1938년 8월에 히틀러가 양면 전쟁은 없을 것이며, 폴란드를 침공함으로써 세계 대전을 일으킬 생각도 없다고 말한 것[각주:8]은 여러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진의였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1939년 9월에 히틀러가 영국과 전쟁을 벌일 계획이 없었음에도 영국과 독일 간 전쟁이 발발하게 된 것은 9월 3일에 있었던 체임벌린의 최후통첩―히틀러가 폴란드에서 물러나지 않는다면 영국은 독일에 전쟁을 선포할 것―이 직접적인 발단이 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각주:9] 그렇다면 체임벌린은 왜 독일과의 전쟁을 결정하였을까? 최후통첩의 명분처럼, 폴란드를 지키기 위해 참전한 것일까? 체임벌린의 목적은 앞서 검토하였듯, 대영제국이라는 세계 지배 체제의 유지였다. 따라서, 체임벌린이 독일과의 전쟁을 결정한 것은 폴란드를 구하기 위한 결정이 아니라, 독일이 초강대국으로 부상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심사숙고 끝에 내린 결정이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일찍이 나폴레옹(Napoleon Bonaparte)이 그러했던 것처럼, 유럽 대륙에서 힘의 균형이 깨어져 새로운 강자가 나타나면 언제 영국을 손아귀에 넣으려 할지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독일에 대해 또 하나의 방책으로 생각하였던 소비에트 연방마저 독일과 불가침조약을 맺은 터에, 독일을 그대로 놓아둔다면 동유럽은 완전히 히틀러의 손아귀에 장악될 것이 뻔한 일이었다. 이는 힘의 균형을 바라던 영국으로서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었다. 따라서, 그나마 독일이 더 강해지기 전에― 영국 ․ 프랑스 연합군의 힘으로 제압할 수 있는 때에― 독일과의 전쟁을 결정한 것은 체임벌린으로서는 합리적인 결정이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종전 후, 카이텔(W. Keitel)이나 할더(F. Halder) 등이 밝힌 것처럼 1939년에 프랑스군이 독일을 공격하였다면 그들과 싸울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던 독일은 치명적인 곤경에 처했을 수도 있었을 터였다.[각주:10] 하지만, 연합군은 막상 독일을 공격하지는 않아, ‘가짜 전쟁(Phony War)’의 상태가 1940년 5월에까지 지속되었다.[각주:11] 그 기간에 독일군은 프랑스를 공격할 만한 힘과 훗날 전격전(Blitzkrieg)으로 잘 알려진 프랑스 기습 작전을 준비할 수 있었다. 체임벌린은 독일과 전쟁을 벌인다는 1939년의 상황으로선 좋은 결정을 했지만, 정작 독일을 공격하진 않아 결국 때를 놓치고 만 셈이었다. 결론적으로, 앞에서 보았던 악평처럼― 체임벌린과 유화정책 탓에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게 되었다는 말은 어느 정도는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했듯 체임벌린은 무능하거나, 히틀러에게 나약하게 끌려다녔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 체임벌린이 뮌헨 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체코슬로바키아가 무력화되고, 결국 독일에 점령된 탓에 체코슬로바키아가 가졌던 군사 장비 등 독일에 넘어가 독일이 프랑스에 대적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견해[각주:12]도 부정적인 관점에서 보아야 할 것이다. 물론 독일은 스코다(Skoda)같은 체코슬로바키아의 큰 군수 공장을 얻었으며, 당시 독일군의 주력 전차와 비견될 수 있었던 체코슬로바키아산(産) 전차[각주:13]를 상당수 확보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수적 비율을 고려하면 그것들이 독일군에게 결정적인 힘이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 1940년 5월에도 독일이 보유하고 있던 병력이나 전차, 대포, 항공기, 함선 등의 수나 무기의 제원 같은 계량적인 전력을 보자면, 독일군은 연합군과 비교하면 여전히 절대적인 열세에 있었다.[각주:14] 칼 하인츠 프리저가 밝혔듯(Karl-Heinz Frieser, ‘Blitzkrieg-Legende : Der Westfeldzug 1940’), 1940년 5월에 있었던 프랑스 전역에서의 독일의 승리는 상술한 계량적 전력의 우위를 통해서가 아닌, 연합군의 허를 찌르는 기습에 의한 작전술 차원에서의 승리였다. 따라서, 체임벌린이 (결과적으로) 독일군이 프랑스를 이기게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견해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것이다.


Ⅴ. 결론 : 한 죄인의 전설

여기까지, 체임벌린과 유화정책에 관한 악평과 그 이면의 모습들을 살펴보았다. 요컨대, 체임벌린은 국제 정세를 현실적으로 파악하여, 대영제국을 유지하기 위한 선택을 뮌헨에서 한 것이다. 체임벌린에게는 히틀러의 요구를 받아줄 만한 정당한 명분과 현실적인 이유가 충분히 있었다. 또한, 체임벌린 때문에 히틀러가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고 한때나마 승승장구할 수 있었던 여건이 만들어졌다는 견해가 타당하지 못함도 알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체임벌린은 앞서 본 독일의 상황은 물론, 영국이 처한 상황까지 모두 고려하여 합리적인 판단―뮌헨 협정의 체결과 독일에의 전쟁 선포―을 내렸던 것이다.

이제, 그에 관한 전통적인 평가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음을 알게 되었다. 그럼에도, 그가 ‘죄인’이라는 비난을 그토록 쉽게, 또 강력하게 받게 된 것은 어떻게 된 일이었을까? 그가 그런 비난을 받게 된 당시의 상황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1940년 5월 10일, 체임벌린은 노르웨이가 독일에 점령된 데에 책임을 지고 사퇴하였고, 처칠이 수상이 되어 전시 내각을 이끌게 되었다. 한편, 같은 날 새벽 독일군은 서부 전선에서 기습 공격을 개시하였는데, 불과 4일 만에 구데리안이 이끄는 독일군이 프랑스의 스당(Sedan)을 돌파함으로써 사실상 전쟁의 승부를 결정짓고 말았다.[각주:15] 프랑스가 항복한 후인 7월 초에 체임벌린을 비난하는 내용이 담긴 ‘죄인들’이라는 책이 출간되었는데, 여기에서 특기할 만한 점이 있다. 체임벌린과 유화정책에 대한 악평을 최초로 확립했다고 볼 수 있는 이 책은[각주:16] 대륙에 있던 영국 원정군(BEF)이 패배하여 본국으로 탈출한, 즉 1940년 5월 말에 있었던 이른바 ‘덩게르크(Dunkirk)의 기적’ 직후인 6월 초에 씌어졌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영국 ․ 프랑스 연합군이 너무나도 어이없이 겨우 며칠 만에 독일군에 의해 격파당한 충격[각주:17]이 체임벌린에 대한 거센 비난의 화살로 전화된 것은 아니었을까? 그가 ‘죄인’이라는 전설을 만들어내면서 말이다.


참고 문헌

김용구,『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배영수,『서양사 강의』, 한울아카데미, 2007.
이주영 외 3인, 『서양 현대사』, 삼지원, 1994.
조영주,『히틀러의 외교정책 - 그 성공과 실패』, 삼지원, 2008.
Buchanan, Patrick J., ‘Churchill, Hitler, and "the unnecessary war" : how Britain lost its empire and the West lost the world’, Crown Publishers, 2008.
Caplan, J., ‘Nazi Germany’,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Churchill, W., 'The Second World War: The Gathering Storm', Houghton Mifflin Harcourt, 1986.
Dönitz, K., 『10년 20일』, 안병구 옮김, 삼신각, 1995.
Frieser, Karl-Heinz,『전격전의 전설』, 진중근 옮김, 일조각, 2008.
Henrik, E., Matthias, U.,『히틀러 북』, 윤종상 옮김, 루비박스, 2008.
Hillgruber, A., 『국제정치와 전쟁전략 - 제2차 세계대전』, 류제승 옮김, 한울아카데미, 1996.
Hitler, A., 『나의 투쟁』, 이명성 옮김, 홍신문화사, 2006.
Johnson, P.,『모던 타임스』, 조윤정 옮김, 살림, 2008.
Lee, Dwight E., ‘Munich : blunder, plot, or tragic necessity?'’, Lexington, Heath, 1970.
McDonough, F., ‘Neville Chamberlain, appeasement, and the British road to wa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8.
Morgan, Kenneth O.,『옥스퍼드 영국사』, 영국사학회 옮김, 한울아카데미, 2006.
Overy, Richard J.,『대공황과 나치의 경제회복』, 이헌대 옮김, 도서출판 해남, 1998.
Shirer, William L.,『제3제국의 흥망』, 유승근 옮김, 에디터, 1993.
Taylor, A. J. P.,『제2차 세계대전의 기원』, 유영수 옮김, 지식의 풍경, 2003.


참고 사이트

Peace for Our Time,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Peace_for_our_time
N. Chamberlain, Speech given in Defense of the Munich Agreement, Parliamentary Debates Commons, Vol. 339. ― http://www.wwnorton.com/college/history/ralph/workbook/ralprs36.htm
The Munich Agreement Document, the Avalon Project, Yale Law School, Lillian Goldman Law Library.
http://avalon.law.yale.edu/subject_menus/munmenu.asp
Munich Agreement,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Munich_Agreement
The Economist, print edition, ‘Britain between the wars - A sense of dread’, 2009년 4월 23일.
http://www.economist.com/books/displaystory.cfm?story_id=13525864
Guilty Men,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Guilty_Men
Military production during World War II,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Military_production_during_World_War_II
Economy of the United Kingdom,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Economy_of_the_United_Kingdom
Tilly, R., Review of ‘The Wages of Destruction: The Making and Breaking of the Nazi Economy’
http://www.hbs.edu/bhr/archives/bookreviews/82/rtilly.pdf
Dutton, D. J., ‘Guilty Men’,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http://www.oxforddnb.com/public/themes/70/70401.html

  1. Frieser, Karl-Heinz,『전격전의 전설』, 진중근 옮김, 일조각, 2008, pp. 53-54. [본문으로]
  2. 김용구, 앞의 책, pp. 779-789. [본문으로]
  3. Dönitz, K., 『10년 20일』, 안병구 옮김, 삼신각, 1995, pp. 53. Frieser, Karl-Heinz, 앞의 책, pp. 50. [본문으로]
  4. Frieser, Karl-Heinz, 앞의 책, pp. 63-64, 77. [본문으로]
  5. Frieser, Karl-Heinz, 앞의 책, pp. 66-67. 또한, 독일군은 정규교육과정을 수료한 예비군이 64만 명에 불과하였다. [본문으로]
  6. Frieser, Karl-Heinz, 앞의 책, pp. 65-66. 당시 독일군의 주력이었던 이 전차들은 기관총이나 2cm 구경의 주포를 탑재했을 뿐이었다. 이는 폴란드 군을 상대할 수는 있었으나, 영국이나 프랑스의 전차들을 상대하기에는 턱없이 약했다. 그리고 1939년 10월에 독일군이 보유하고 있던 Ⅲ호 전차와 Ⅳ호 전차의 수는 프랑스를 공격하게 되는 1940년 5월의 19%, 49%에 불과하였다. [본문으로]
  7. Frieser, Karl-Heinz, 앞의 책, pp. 109-113. [본문으로]
  8. Frieser, Karl-Heinz, 앞의 책, pp. 53-55. 양면 전쟁이란 동쪽에서는 폴란드, 서쪽에서는 프랑스와 동시에 전쟁을 치르는 것을 말한다. 또, 히틀러는 1945년의 유언에서도 자신은 1939년에 전쟁을 원하지는 않았다고 말하였다. 조영주, 앞의 책, pp. 122, 207. [본문으로]
  9. Hillgruber, A., 앞의 책, pp. 196. [본문으로]
  10. 당시 카이텔은 독일 국방군 최고사령부(OKW)의 총참모장이었으며, 할더는 육군 총사령부(OKH)의 총참모장이었다. Frieser, Karl-Heinz, 앞의 책, pp. 50-52. [본문으로]
  11. 영국과 프랑스는 강력하게 뒷받침된 육상에서의 요새 방호와 해상 봉쇄를 통하여, 굳이 독일을 공격하지 않아도 독일에 전략적 포위와 경제적 압박을 가할 수 있었다. 즉, 시간이 흐를수록 유리한 것은 연합군 쪽이라 판단되었으므로 독일을 먼저 공격하진 않았던 셈이다. Frieser, Karl-Heinz, 앞의 책, pp. 169. [본문으로]
  12. Johnson, P. 앞의 책, pp. 662-663. [본문으로]
  13. 1940년 5월에 독일군이 보유하고 있던 체코슬로바키아산 전차(35t, 38t)의 성능이나 수는 독일의 Ⅲ호 전차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독일이 보유하고 있던 10개 기갑사단 중 3개 사단이 이 전차를 주축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Frieser, Karl-Heinz, 앞의 책, pp. 86, 90. [본문으로]
  14. Frieser, Karl-Heinz, 앞의 책, pp. 83-108. [본문으로]
  15. Frieser, Karl-Heinz, 앞의 책, pp. 312-315. [본문으로]
  16. 조영주, 앞의 책, 2008, pp. 54. [본문으로]
  17.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이 1940년 5월 10일에 공격을 개시한 후, 불과 9일 만에 대륙에서의 철수를 고려하기에 이르렀고, 결국 개전 3주 째에 다이나모(Dynamo) 작전을 통해 간신히 영국으로 철수하였다. 이는 연합군에게 있어 그야말로 엄청난 충격이었다. Frieser, Karl-Heinz, 앞의 책, pp. 30, 472-478. [본문으로]
  Comments